지구와사람
검색
메뉴 열기
메뉴 닫기
kor
eng
지구와사람
비전과 미션
조직도
스토리
뉴스레터
후원/협력
지구법학
아카데믹 소사이어티즈
지구법센터
출판
라이브러리
지구공부
토마스베리강좌
지구법강좌
온라인 TV
기후Talk
미래세대 교육
컨퍼런스
정례 컨퍼런스
DMZ 생명공동체
기후변화 콜로키움
프로젝트
지구아이
문화예술플랫폼
프로젝트
영상
Earth Letter
비전과 미션
조직도
스토리
뉴스레터
후원/협력
아카데믹 소사이어티즈
지구법센터
출판
라이브러리
토마스베리강좌
지구법강좌
온라인 TV
기후 Talk
미래세대 교육
정례 컨퍼런스
DMZ 생명공동체
기후변화 콜로키움
프로젝트
프로젝트
영상
Earth Letter
정례 컨퍼런스
지구와사람은 매년 포럼 활동 성과를 소개하고, 학술 작업을 발표하고 공유할 목적으로 컨퍼런스를 엽니다.
2022 생태대포럼 <전 지구적 위기시대의 통합생태적 전망과 ESG> 영상과 자료집
1부. 우리는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가? 축사 김상협(대통령소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공동위원장)Maria Mercedes Sanchez(UN Harmony with Nature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기조스피치 풍요로운 미래를 위한 통합생태론 - Mary Evelyn Tucker(예일대학교 교수)모두를 위한 좋은 삶 - David Korten(Living Economies Forum 의장) ESG: 기업의 시대적 역할과 과제 포스...
2023/07/20
2022 생태대포럼 <전 지구적 위기시대의 통합생태적 전망과 ESG> 프로그램
지구와사람 2022 생태대포럼 전 지구적 위기시대의 통합생태적 전망과 ESG 개 요 일 시: 2022년 10월 20일(목) ~ 10월 22일(토) 장 소: 서울 용산구 회나무로 66 가야랑빌딩 3층 G-Contemporary 홀 방 식: 현장/온라인(Zoom, YouTube) 동시 진행, 동시통역 제공 주 최 : 지구와사람, 경기연구원, 에너지전환포럼 주 관 : 지구와사람 협 력 : UN...
2022/10/04
2021 생태대포럼 <지구법학과 한국사회 새로 읽기>
세계는 장기간의 팬데믹 속에 잠겨 있고, "글래스고 기후 합의(Glasgow Climate Pact)"후 탄소 감축을 향해 힘겨운 발자국을 떼고 있다. 지구와사람은 2021 생태대포럼을 통해 지구 법학을 한국 사회의 주제들과 연결해 보는 실천적 모색의 시간을 가졌다. [1부] 12월 28일, 1부 〈인간 너머의 존재, 생명과 열리는 미래〉는 지구와사람 학술 단장 겸 상임대표인 김왕배(연세대 사회학과)의 기조강연으로 ...
2022/01/25
2021 생태대포럼 안내
지구와사람의 연례 정기 컨퍼런스, 〈2021 생태대포럼〉 안내 드립니다.이번 〈2021 생태대포럼〉은 '지구법학과 한국사회 새로 읽기'라는 주제로 제1부(12월 28일), 제2부(1월 5일) 양일 간 유재에서 진행 될 예정 입니다.위의 웹자보 중 Zoom 링크를 클릭하시면 실시간으로 시청 가능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2021/12/14
2020 생태대를 위한 PLZ포럼_DAY3
[DAY3] 특별세션 및 세션 7생태대를 위한 PLZ포럼 2020은 〈평화, 환경, 발전 넥서스를 통한 세계접경지역의 평화구축〉을 주제로 2020년 12월3일~12월5일에 개최되었다. 3일차인 12월 5일은 중앙대 접경인문학연구단 및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와의 협업세션을 진행하고, 마지막 라운드테이블 토론으로 포럼을 마무리했다. 협업세션- 〈중앙대학교 접경인문학연구단〉 동아시아 접경지역에서 평화 프로세스-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
2021/01/22
2020 생태대를 위한 PLZ포럼_DAY2
[DAY2] 세션3, 세션4, 세션5, 세션6생태대를 위한 PLZ포럼 2020은 〈평화, 환경, 발전 넥서스를 통한 세계접경지역의 평화구축〉을 주제로 2020년 12월3일~12월5일에 개최되었다. 포럼 2일차인 12월 4일에는 3세션 부터 6세션까지 진행되어 접경지역에서의 평화와 발전, 그리고 변화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었다.세션3 : 접경지역의 평화 구축 맥락에서 자연과 조화(Harmony with Nature)를 이루는 다양한 접근세션4 :...
2021/01/22
2020 생태대를 위한 PLZ포럼_DAY1
생태대를 위한 PLZ포럼 2020은 〈평화, 환경, 발전 넥서스를 통한 세계접경지역의 평화구축〉을 주제로 2020년 12월3일~12월5일에 개최되었다.강원도와 철원군 주최로 개최된 이번 포럼은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에너지,불평등의 증가,세계적 빈곤, 이주, 식량 위기, 식수와 자원 부족 및 갈등과 같은 우리 시대의 사회적 문제와 이들의 구조적 원인에 관하여 접경지역에 초점을 두고 평화, 환경, 발전의 분야에서 상호 연결된 위기들이...
2021/01/21
2020 창립 5주년 컨퍼런스 <생명과 공동체의 미래 (Without Life, Where is the Future?)>
DAY 1 l Online Special Speech - 인간과 생명(Human Being and Life) John B. Cobb Jr. (클레어몬트 신학대 교수) *진행 : 김홍기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DAY 2[1부 - 생명과 자기정체성 l 진행 송기원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대량생산과 대량소비에 기반한 현재의 문명은 지구에서 진행되었던 어떤 멸종보다도 빠른 속도로 여섯번째 생명체의 대멸종을 야기하고 있다. 최근의 과...
2020/10/29
2019 생태대를 위한 PLZ 포럼_Day 2: 자연의 권리와 DMZ 보존, 그리고 기후변화를 위한 모색들
포럼 두 번째 날인 9. 21.(토) 제2세션의 주제는 "지구법학과 자연의 권리"였다. 이 자리에서 유엔 하모니 위드 네이처(UN Harmony with Nature Programme)의 마리아 산체스 코디네이터는 ‘Harmony with Nature 운동’과 지구법의 세계적 확산에 대해서 발제했다.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는 바로 “지구 곳곳의 모든 사람들이 어머니 지구를 보호하는 것의 중요성과 책임을 배우는 것”이라며 지난 10년간의 활동과 연대의 확산 움직임을 소개했다.
2019/10/20
2019 생태대를 위한 PLZ 포럼_Day 1: 클라우스 보셀만 교수의 기조강연 및 지구 거버넌스와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
〈Day 1 하이라이트〉〈개회사와 축사〉강금실 지구와사람 대표의 개회사와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환영사, 이리나 보코바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과 안병옥 국가기후환경회의 운영위원장의 축사로 막이 올랐다. 곧 이어 클라우스 보셀만 오클랜드대 교수가 ‘지구 거버넌스 : 환경수탁자로서의 국가’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클라우스 보셀만 기조 강연 '지구 거버넌스 : 환경수탁자로서의 국가'〉보셀만 교수는 기조강연을 통해 “환경은 결코 협상의 대상이 아...
2019/10/20
제목
내용
이름
검색
1
2
3
4
5
지구와사람
비전과 미션
조직도
스토리
뉴스레터
후원/협력
지구법학
아카데믹 소사이어티즈
지구법센터
출판
라이브러리
지구공부
토마스베리강좌
지구법강좌
온라인 TV
기후Talk
미래세대 교육
컨퍼런스
정례 컨퍼런스
DMZ 생명공동체
기후변화 콜로키움
프로젝트
지구아이
문화예술플랫폼
프로젝트
영상
Earth 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