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사람

검색
동향
생태적 세계관과 지구 거버넌스를 정립하기 위한
국제기구와 각국의 노력 및 성과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언더바

국내외 지구법 전문가들의 교류와 자료축적, 학술 토론회, 학술지 발간, 시민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구법강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연의 권리를 존중하는 대중문화의 형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관련 자료
  • [2018 생태태연구회 특강] '폐기물의 정치학' - 김승진 박사 (8월 20일) 지난 8월 20일, 생태대연구회에서 준비한 김승진 박사의 '폐기물의 정치학' 특강이 열렸다. 이 강의는 물질 환경의 변화와 관련한 폐기물의 대량 발생 문제, 쓰레기 처리 인프라 관련 현안들, 그리고 이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무엇이, 또 누가 희생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던 기회였다. 김승진 박사는 산업화 이후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 낸 플라스틱 등 새로운 물질들이 처리되지 못한 채 그대로 지구에 쌓이고 있다는 것을 우선 지적했다.... 2018/09/10
  • [2018 기후와문화연구회 특강] '기후와 생명의 공진화' - 김성중 박사(8월 22일) 지난 8월 22일, 기후와문화연구회에서 준비한 극지연구소 김성중 박사의 강연 '기후와 생명의 공진화'가 열렸다. '기후는 지구 탄생 이후 현재까지 끊임없이 변동하며 생물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생물의 진화는 우연적인 변이와 자연선택에 의해 유지되고, 자연선택의 정도와 진화의 속도에 있어서 기후변화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많은 과거의 기록에서 나타난다. 특히 기후변화는 지구의 대 격변에 따른 다섯 번의 대멸종의 직간접적인... 2018/09/10
  • [2018 생태태연구회 특강] '한스 요나스의 미래를 위한 윤리: 기술시대의 생태학적 윤리' - 신충식 교수(7월 23일) 2018년 7월 23일, 광화문 트레이서울에서 전후 독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철학자이자 생태윤리 사상을 주도했던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윤리에 관한 특강이 열렸다.이날 강의를 맡은 신충식 교수는 한스 요나스가 가르쳤던 뉴욕 맨해튼의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그의 생태윤리 강의를 직접 수강한 바 있다. 주로 자연철학, 시간현상학, 정치철학을 수학했으며, 현재는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인간의 다양한 가치, ... 2018/08/07
  • [2018 기후와문화연구회 특강]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 IPCC 5차 평가보고서(AR5)’ - 권원태 박사(7월 4일) 2018년 7월 4일 법무법인 원 대회의실에서 권원태 박사의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 IPCC 5차 평가보고서(AR5)’ 특강이 열렸다. 이날 강의는 2014년 발간된 IPCC 5차 평가보고서(AR5)의 종합보고서 중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서(SPM)를 중심으로 기후변화의 현황과 과학적 이해 수준 및 적응과 완화정책에 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다뤘다. 권원태 박사는 국립기상연구소 소장, 기상청 기후과학국장, 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을 거쳐 ​현재는 국회... 2018/07/19
  • 제 8회 포스트휴먼과 종교 포럼 녹취록 (3월 26일) 2018년 3월 26일 월요일, 서울 경동교회에서 '제 8회 포스트휴먼과 종교 포럼'이 열렸다. 포럼 지구와사람 강금실 대표와 생태대연구회 회장 송기원 교수를 비롯해 이경민 교수, 홍성욱 교수 등이 참여해 존 캅 교수의 〈생명의 해방: 세포에서 공동체까지〉(나남, 2010)을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했다. 이날 기록은 서울대-한신대 포스트휴먼연구단 아카이브즈에서 정리했다. 2018/07/19
  • [2018 생태태연구회 특강] '브뤼노 라투르의 <판도라의 희망>' - 홍성욱 교수(6월 4일) 6월 4일, 광화문 트레이서울에서 '브뤼노 라투르의 〈판도라의 희망: 과학기술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를 주제로 이 책의 국내 출간을 기획하고, 번역한 서울대 홍성욱 교수의 강의가 열렸다. 3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이 강연은 철학자이자 인류학자인 브뤼노 라투르가 과학전쟁에서 공격을 받은 후 고뇌한 결과와 그 끝에 보여주는 과학기술학과 과학에 대한 생각 즉, 테크노사이언스가 낳은 불확실성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과 연대라는 희망의 ... 2018/07/04
  • [2018 기후와문화연구회 특강] 왜 기후변화가 문제일까 - 공우석 교수(4월 12일) 4월 12일, 기후와문화연구회에서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공우석 교수의 특강이 열렸다. '왜 기후변화가 문제일까'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강의에서는 지구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인 기후변화 문제의 현 상황을 짚어 보고, 기후변화가 인간의 모든 삶과 문화, 건강과 질병에 미치고 있는 영향, 앞으로 미치게 될 영향을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기후변화를 촉진하는 패스트(fast) 패션 산업, 이산화탄소를 다량 생산하는 육식 문제와 커피 ... 2018/05/18
  • [2018 생태태연구회 특강]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 - 전철 교수(4월 30일) 2018년 4월 30일, 생태대연구회에서 준비한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의 생태학〉 - 한신대 전철 교수’ 특강이 가회동 하나를위한음악재단 사무실에서 열렸다. 20여 명의 참석자들이 모인 가운데 열린 이 특강은 시스템 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중요한 인식론적 토대를 형성한 사상가인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논문을 모은 책 〈마음의 생태학〉(1972)에 대한 전철 교수의 해설로 진행됐다. 베이트슨이 남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 2018/05/18
  • 2018 지구의날 기념 UN 회의 영상 4월 22일 지구의날을 맞아 2018년 4월 23일에 열린 유엔 Harmony with Nature 다이알로그 영상이다. 'Earth Jurisprud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in Harmony with Nature.'라는 테마 아래 진행됐다. 2018/05/14
  • IPCC 제 5차 평가보고서 (2014년 3월 31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PCC의 제 5차 평가보고서다. 제 2 실무그룹 보고서는 2014년 3월 31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제 38차 IPCC총회에서 최종 승인한 보고서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번역했다. 제 3 실무그룹 보고서는 같은 해 4월 7일부터 1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PCC 제 3 실무그룹 12차 회의에서 승인된 내용으로,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문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번역한 것이다. 2018/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