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사람

검색
관련문헌
생태적 세계관과 지구 거버넌스의 정립을 위해 공유해야 할
관련 학술자료와 추천도서 등 다양한 관련 자료들을
열람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 학술자료 송기원 교수, 2016년 6월부터 11월까지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프레시안 정기 컬럼 연재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송기원 포럼 회원이 2016년 6월부터 11월까지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라는 큰 주제 아래 13개의 컬럼을 정기 연재했다. 컬럼에서는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 '유전자 가위(CRISPR/CAS-9)' 등 지금 가장 뜨거운 첨단 생명과학의 이모저모와 그것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을 살펴보는 등 사회, 경제, 윤리 등 우리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학기술의 최전선을 친절하게 안내했 2017/03/28
  • 뉴스클리핑 포럼 회원 이경호 작가, 환경을 소재로 한 작품 <빙상> <somewhere> 출품 포럼 회원이자 설치미술가인 이경호 작가가 지난 2016년 10월 22일 열린 창원비엔날레에 이어,11월 18일부터 한 달간 열린 2016순천만국제자연환경미술제에 환경을 소재로 한 작품을 출품했다.창원비엔날레에 출품한 〈빙상〉은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녹는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인간의 욕망이 낳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대해 묵직한 메시지를 던지며 관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순천만국제... 2017/01/05
  • 뉴스클리핑 [환경일보 2016/11/07] 포럼 지구와사람, 정기 컨퍼런스 개최 [유니베라에코넷센터=환경일보] 정흥준 기자 = 11월5일 포럼 지구와사람이 ‘오늘의 인간 미래의 지구’를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포럼 지구와사람은 지구와 사람이 조화롭게 생존할 수 있는 생태문명으로의 전향을 지향하며, 관련 컨퍼런스‧생태복지 프로젝트‧출판사업 등을 진행해 왔다. 이번 컨퍼런스는 총 3부로 나뉘어 ▷과학기술과 문명의 지향 ▷과학기술은 동반자인가, 파괴자인가 ▷지구법의 원리와 실천 방안을 논의했다. 기사 전문 보기 〉〉http... 2016/11/10
  • 학술자료 최근의 입법동향과 정당 정책공약으로 본 우리나라 동물보호운동의 전망과 과제 - 하승수 '환경법과 정책 제 17권'에 발표한 하승수 녹생당 전 공동운영위원장의 특별기고문이다. '인권의 발전과 함께 한국에서도 사람이 아닌 다른 생명에 대해서 눈을 돌리는 움직임이 서서히 일어나기 시작했지만 동물법과 관련한 법제도는 여전히 뒤떨어져 있는 상황'에 대해 짚고, 우리나라 동물보호운동의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에 대해 살펴본다. 2016/10/28
  • 학술자료 제18회 가톨릭에코포럼 '지구법학과 생태중심의 거버넌스를 향하여' 발제문 - 강금실, 박태현 지난 2016년 3월 22일, 천주교 서울대교구 환경사목위원회가 주관하는 제18회 가톨릭에코포럼에서 포럼 지구와사람 강금실 대표와 박태현 교수가 발제했다. '지구법학(Earth Jurisprudence)과 생태중심의 거버넌스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진행한 이번 포럼에서 강금실 대표는 '지구법의 의미와 성서적 해석'에 대해, 박태현 교수는 '지구법학이 인간법학에 제기하는 문제들'에 대해 발제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할 ... 2016/07/05
  • <야생의 법 - 지구법 선언> 출판 기념회 토론 영상과 녹취록 (4월 22일) 2016년 4월 22일 열린 <야생의 법 - 지구법 선언>에서 번역자인 박태현 교수와 생태대연구회장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환경일보 김익수 편집대표, 서울대학교 고철환 교수가 함께 벌인 야생의 법에 관한 짧은 대담을 영상과 글에 담았다. 2016/07/05
  • <야생의 법 - 지구법 선언> 출판 기념회 (4월 22일) 2016년 4월 22일 에코넷센터에서 〈야생의 법 – 지구법 선언〉 출판 기념회를 열었다. 전 세계가 기념하는 지구의 날에 맞춰 연 이 행사에는 포럼 회원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노주코 글로리아 밤 대사를 비롯해 외부 인사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본 행사에서는 번역자인 박태현 교수를 중심으로 생태대연구회장 송기원 연세대학교 교수, 환경일보 김익수 편집대표, 서울대학교 고철환 교수가 함께 야생의 법에 관한 짧은 대담을 벌였다. 대담을 마친 후... 2016/06/25
  • 학술자료 기후 변화와 우리의 미래 - 이대한 회원 (2016 청암과학펠로우상 수상작) '10년 내에 한국사회가 당면할 가장 중요한 이슈는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라는 주제 아래, 서울대 생명과학부 박사 과정 중인 이대한 회원이 '기후변화와 우리의 미래'에 관해 작성한 글로, 지난 2016년 4월 청암과학펠로우상을 수상했다. 2016/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