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금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위기의 시대에 살고 있다. 바로 지금, 무분별한 화석연료 사용과 통제되지 않은 개발에 중독되어 위기를 자초한 인간뿐 아니라 대부분의 생물들이 그야말로 ‘인위적인 멸종’에 직면해 있다는 경고는 결코 빈말이 아닌 엄연한 현실이다. 인권 옹호와 사회정의 실현이라는 무거운 사명을 지고 있는 우리 법률가들은 기후위기의 시대 인권과 정의가 기후, 지구 환경과 떼어놓을 수 없음을 새삼 절감한다. 인간은 지구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에도, 이러한 당연한 진실을 외면하고 탐욕을 쫓아왔다. 그 결과 생명의 기반 자체가 허물어지고 있다. 지난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는 각국이 지금의 추세대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경우, 2040년경에는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지구 평균기온이 1.5℃ 상승하고 더 이상 되돌릴 수 없는 지구 환경을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전망이 너무나 낙관적이며 여러 변수를 고려했을 때 2030년경 1.5℃ 한계선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한다. 나아가 대재앙을 피하려면 당장 이산화탄소 배출과 흡수 수준을 맞춰 실질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제로’에 묶어두는 ‘탄소 중립’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스웨덴의 10대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지난 23일 유엔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세계 각국 정상, 산업계 대표들을 향해 “당신들은 그저 공허한 말들로 내 꿈을 훔쳤고 내 유년시절을 앗아갔다”고 신랄하게 질타했다. 기후위기에 대한 공포와 기성세대의 안일함에 대한 비판은 국경과 세대를 뛰어넘어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21일에는 139개국이 동참하는 ‘글로벌 파업’의 일환으로 사회 각계각층 330개 단체가 서울에서 ‘9·21 기후위기 비상행동’ 집회를 열었다. 또 오는 27일에는 기후위기에 대한 문제의식을 같이하는 청소년들이 학교 수업을 거부하고 서울 광화문에 모이는 ‘기후를 위한 결석시위’를 예정하고 있다. 우리는 기성세대의 일원으로서 이러한 청소년들의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 특히 법률가로서 공동체와 그 구성원의 행복,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한 데 대해 깊이 반성한다. 이제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사회 전체 구성원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며 철저한 실천에 나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고 정책 방안을 수립하는 정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여전히 기후위기를 직시하지 않은 채 현실에 타협하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이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7위이다. 1.5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 세계가 2030년까지 2010년 대비 온실가스의 45%를 감축해야 한다. 한국 정부는 기존 추세(business-as-usual) 대비 37%를 감축하겠다고 했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2010년 대비 온실가스의 15%를 감축하는 데 그친다. 한국 정부의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과 대응 수준은 국내외의 기대와 요구에 결코 부응하지 못한다. 위기는 분명히 현재 진행형이다. 세계기상기구(WMO)의 지구 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지구 평균 기온은 0.2℃ 상승하여 가장 더운 기간으로 기록되었으며, 같은 기간 평균 해수면은 지난 20년 대비 최대치로 연평균 5㎜ 높아졌다. 한국의 기후변화 속도는 지구 평균치를 웃돌았다. 위기는 이와 같은 수치와 통계로 머무르지 않는다. 폭염을 비롯한 이상기후, 병해충 창궐, 생물다양성 감소 등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지구 곳곳이 고통 받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기후위기로 인하여 사회취약계층이 더 큰 피해를 입는 등 ‘환경 부정의’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우리는, 이제라도 한국 정부가 기후위기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보다 실효적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내놓기를 촉구한다. 정부는 기후위기 문제를 우선 정책과제로 삼고 에너지 정책, 산업 정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동시에 생태 문명으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관련 법제를 조속히 정비하고 즉각 실천에 나서기를 거듭 촉구한다. 정부의 기후위기 직시와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하는 법률가 일동 |
우리는 생명의 근원이자 삶을 터전인 자연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삶이 자연과의 유대 관계 속에서 긴밀하게 교류할 때 그러나 현재 우리가 처한 위기에 대하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교육은 지구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교육을 통하여 우리는 인간 윤리만을 중시하는 우리의 자세가 인간의 무지와 오만함에서 비롯된 것임을 반성하고 지구 윤리를 교육 철학의 근본으로 삼아야 합니다. 현재 기후와 자연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사고와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육이 시급하게 요구됩니다. 2019년 9월 21일 자연의 권리와 생태적 전환 컨퍼런스에서 이와 같이 선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