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사람

검색
동향
생태적 세계관과 지구 거버넌스를 정립하기 위한
국제기구와 각국의 노력 및 성과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언더바

국내외 지구법 전문가들의 교류와 자료축적, 학술 토론회, 학술지 발간, 시민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구법강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연의 권리를 존중하는 대중문화의 형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관련 자료
  • [논문 소개] 유럽연합의 자연기본권 헌장에 대하여 이 연구는 인간과 자연 간의 다른 그리고 개선된 관계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EU 법질서에서 자연의 권리에 대한 법적 인정을 위한 토대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목표는 자연 기본권에 대한 EU 헌장의 개발을 통해 달성되어야 한다 보았다. 이 논문은 2020년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에서 출판되었으며, 원 제목은 〈Towards an EU Charter of the Fundamental Righ... 2021/10/05
  • 유엔 2020 Harmony with Nature 지구법학 다이알로그 보고서 이번 Harmony with Nature 회의는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인해 취소 되었고, 보고서는 자연스럽게 세계적인 인류 건강의 위기를 다루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비인류중심적 가르침에 뿌리를 둔 생태경제학과 지구중심법에 초점을 맞춘 지구법학의 가장 최근의 긍정적인 발전을 담았다. 유엔 사무총장은 이 보고서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 어젠다 이행에 있어 인간 중심에서 지구 중심 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보여주는 2019년 하반기... 2021/09/30
  • 유엔 2019 Harmony with Nature 지구법학 다이알로그 보고서 이 보고서는 2009년 12월 21일을 지구의날로 선언한 후 10년이 되는 해인 2019년을 맞아, 4월 22일에 열린 Harmony with Nature 다이얼로그를 기록 한 보고서이다.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법, 정책, 교육, 공공 분야에서의 지구법 실현은 물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2030 어젠다의 이행을 촉진 하는 데 있어 지구 중심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등에 대해 다뤘다. 2021/09/30
  • [지구법학회 열린세미나] '온실지구'의 지구법 - 김락현 교수 (8월 23일) 2022년부터 지구와사람이 기획하여 진행하고 있는 '열린세미나'의 세번째 시간으로, 지난 8월 23일 지구법학회가 추천한 네덜란드 위레흐트 대학교 김락현 교수(이하 '발제자')를 모시고 〈'온실지구'의 지구법〉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듣고 참가자들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발제자는 지구가 일정한 한계점(planetary boundary)을 지나서 되돌릴 수 없는 '온실지구(Hothouse Earth)'로 되어버린다면, 지구법을 비롯한 생... 2022/10/07
  • [IPCC Report] 제6차 평가주기 제1실무그룹보고서(국영문합본) IPCC는 현재 6차 평가 주기에 있으며, 3개의 작업 그룹과 1개의 종합 보고서, 3개의 특별 보고서 및 최신 방법론 보고서의 개선 사항이 포함된 6차 평가보고서(AR6)를 준비 중이다.2021년 8월 9일에 Working Group I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가 발표되었다.2022년 2월 28일에 Working Group II 〈Climate Change 2022: Impact... 2022/07/28
  • [지구법학회 열린세미나] '기후-생태위기에 관한 인권사회학자의 생각: "침묵의 범죄 에코사이드"를 중심으로' - 조효제 교수 (6월 2일) 2022년부터 지구와사람은 각 소속 학회가 추천하는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이야기를 듣고 시민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연속기획 '열린세미나'를 개최한다. 그 두번째 시간으로, 지난 6월 2일에는 지구법학회가 추천한 조효제 교수(이하 '발제자')를 모시고 〈기후-생태위기에 관한 인권사회학자의 생각: "침묵의 범죄 에코사이드"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강연을 듣고 참가자들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발제자는 2008년 가을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통... 2022/07/04
  • [바이오크라시 열린세미나] '신유물론의 윤리 - 비인간과 인간이 함께 만드는 세계' - 김지혜 박사 (5월 12일) 2022년부터 지구와사람은 각 소속 학회가 추천하는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이야기를 듣고 시민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연속기획 '열린세미나'를 개최한다. 지난 5월 12일 바이오크라시 연구회의 추천으로 김지혜 박사(이하 '발제자')를 모시고 〈신유물론의 윤리: 비인간과 인간이 만드는 세계〉라는 제목으로 첫 걸음을 옮겼다.발제자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신유물론의 관점을 통해 지구, 인간, 자연과 같은 광범위한 존재들을 어떻게 이해할... 2022/06/30
  • [연구보고서] 기후변화소송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기후변화소송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는 헌법재판연구원 단행보고서(22.03.15, 연구책임자: 김선희 책임연구관)이다. 이 연구보고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국제규범과 국제사법기관의 판결, 각하된 주요 기후변화소송 사건, 본안판단에 나아간 주요 기후변화소송 판결 등을 다루고 있다. 2022/06/21
  • 유엔 2020 Harmony with Nature 지구법학 다이알로그 보고서 보충문서 이 보고서는 2020년 하모니 위드 네이처에 관한 유엔 결의안 (A/75/266)의 보충문서이다.이번 보충문서는 2019년 하반기부터 2020년 상반기 동안 세계 도처에서 전개된 지구법학 관련 170개 사례를 보고하고 있다.같은 기간 동안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많은 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거거나, 취소 또는 연기되었다.보충문서는 특히 주목할 점으로서 자연의 권리를 위한 법적 도전과 성과가 증가했고 많은 수의 대학 등 학술기관에서 지구중... 2022/06/20
  • [2019 기후와문화연구회 특강] '숲으로 가는 길' - 이유미 국립수목원 원장 (7월 20일) 지난 7월 20일 토요일 오후, 유재에서 이유미 국립수목원 원장의 특강이 열렸다. 이 원장은 "숲과 그 숲에 살아가는 풀, 그리고 나무들에 대한 동경은 있으나 우리의 삶에 이를 들여 놓고 사는 이는 많지 않다"라며 이날 모인 이들에게 식물을 눈여겨보고, 함께할 수 있는 마음과 눈을 선물했다. "초록으로 물든 삶은 청량하며, 그 생명들은 분명 우리에게 영감이자 위로"라는 그는 다양한 식물들, 식물들이 살아가는 세상, 그들과 우리가 엮여 있는 세상... 2019/08/05